출산 후에는 임신으로 인해 생겨난 자궁 및 전신의 변화가 서서히 회복되기 시작하는데 여기에는 대략 6주에서 8주가 소요된다.
이 시기 동안에는 출산으로 인해 여성의 몸이 허약해져 있기 때문에 몸조리을 잘못하면 여러 가지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산 후에 몸조리를 잘못해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증상을 한방에서는 산후풍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자연유산이나 인공임신중절수술(일명 소파수술)후에 발생하는 여러 증상도 포함시켜 말한다.
산후풍은 출산이나 유산 이후에 조리를 잘못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산후에 몸조리 하는 과정에서 몸이 완전히 회복되기도 전에 과로나 스트레스, 찬바람(혹은 냉방)등의 환경에 접하게 되었을 때, 임신중에 입덧이심하거나 임신중에 환도가 시다고 하는경우, 나이가 많은 임신부의 경우, 분만하는 과정에서 어혈이 자궁안에 잔류해서 자궁 수축을 더디게하거나 출혈이 많았던 경우, 유산시킨 횟수가 많거나 감염이 있는 경우에 산후풍이 흔히 발생한다.
특히 요즘은 유산으로 인한 산후풍이 많이 발생하는 추세인데 이는 정상 분만후에는 여건이 허락하는 한 충분히 조리을 하지만 유산시킨 후에는 조리를 소훌히 하거나 아예 안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산후풍의 원인이 다양한 만큼증상도 다양하다.
또한 산후풍에 걸린 여성들이 호소하는 증상들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많다.
흔히 산후풍하면 "관절이 시리고 관절에 바람이 들어오는 것 같다. 환도가 시리고 아프다.
몸이 이곳저곳이 돌아가며 아프다" 고호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그러나 이러한 증상들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통증과 저림 증상
2 전신 증상
3 정신 신경계 증상
분만 후에 "전과는 달리 온몸이 아프다" 고하여 여러검사를 하였으나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 자세히 진찰해 보면 산후풍인 경우가 매우 흔하다.
산후풍은 염증이나 종양처럼 기질적인 병이 아니므로 임상병리검사나 방사선검사을 해보면 특별히 이상이 발견되지 않지만 검사상 이상소견이 없는 기능적 장애라도 한방적인 치료을 받아야 한다.
산후풍은 임신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때부터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여성들의 임신과 분만은 26세에서 35세 사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기간에 산후풍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31~35세가 43.8%, 26~30세가 27.5%, 36~40세가 12.5%, 40세 이상이 10.0%, 25세 이하가 6.2%에서 산후풍의 증상들 호소한다.
흔히 산모가 몸이 허약하다고 해서 보약을 많이 찾게 되지만 그 상당수는 전문적인 진료보다는 민간요법에 의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산후에 부기을 빼주는 호박, 젖이 잘나오게 해준다는 족발, 피를 보충해주는 사물탕, 염소고기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보약도 체질에 맞지 않으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산후에는 시기별로 구별하여 처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산후에 한약을 먹을때는 "남들이 좋다고 하니까"라는 막연한 생각을 버리고 전문 한의사와 상담 후에 드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히 아기을 낳고 조리가 잘못되어 발생한 산후풍은 다음 아기를 출산하고 조리를 잘하면 낫는다는 속설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말을 믿고 아기을 출산하였으나 몸이 더 아프다고 하는 사람이 태반이다.
건강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임신들 하면 태아나 임신부에게도 좋을 리가 없고 또 분만 후에 조리를 아무리 잘하여도 회복되는데는 훨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한방에서는 산후풍을 예방하기 위해서 분만 후를 시기별로 나누어서 침보다는 약물로 치료한다. 분만 후 1주일 이내는 체내의 어혈을 제거하여 자궁의 수축을 촉진하는 방법을, 분만 후 2~3주까지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부기을 없애주는 방법을, 분만한지 4주 후에는 분만으로 손상된 기혈을 보충해서 체력을 회복시켜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산후조리법으로 치료하면 산후에 체력이 빠른 시간내에 회복되기 때문에 산후풍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유산시킨 후에도 상기와 동일한 치료을 받는 것이 좋다.
산후풍은 치료보다는 예방이 우선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일단 산후풍이 발생하게 되면 치료를 빨리 해야만 치료기간이 단축되고 그 후유증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산후풍은 평생간다는 생각은 버리고 적절하고 충분한 치료를 받으면 반드시 치료될 수 있는 질환이다. 한방에서는 산후풍을 치료할때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보고 크게 4가지즉 혈허, 신허, 풍한, 혈어증으로 구분하여 치료하면 효과적이다.
산후풍의 풍과 중풍의 풍은 많은 차이가 있다.
중풍은 뇌혈관 질환으로 중추성, 기질성 질환인 반면 산후풍은 사지 관절에 나타나는 말초성, 기능성 질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