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허약체질개선

허약 체질 개선 클리닉

특정한 질병으로 몸이 약해져있거나 또는 뚜렷한 질병은 없으면서도 기능적으로 약한아이들 허약아라고 합니다.
허약아는 선천적으로 기운이 부족하여 허약해지는 경우와 건강하게 태어났더라도 후천적으로 허약해지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허약이가되면

한방에서의 질병은 허약한데서 비롯되며 특히 허약한 장기는 질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사람은 누구나 선천적으로 허약한 부분이 있으며 후천적으로도 특정부위가 허약해 질 수 있다. 결국 허약한 곳에 질병이 찾아들게 마련이다. 허약이에게는 특별한 관심을 가져아하는데 이때 제일 먼저 생각하게 되는 것이 보약이다.

알레르기도 허약이에게 많은가?

최근에는 환경공해, 식품공해, 과잉보호 등으로 알레르기 체질이 증가하고 있다.
어느 물질에 대해 우리 몸의 특정부위가 과민반응을 나타냈을 때 알레르기성 질환이라고 한다. 이것도 신체중 비교적 허약한 부위에 발생하게 된다.
알레르기질환은 대부분 알레르기을 일으키는 항원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허약아에게 발생하므로 저항력을 키워 주는 한약이 필요하다.

보약이란?

보약은 말 그대로 몸을 보호해주는 한약이다.

이 보약은 건강을 유지시켜서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예방적인 측면과 잔병치레나 수술 등으로 건강상태가 나쁠 경우 빠른 시일 내에 건강을 회복시켜는 치료적인 측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보약에서 보(해)는 몸의 부족함을 보충해 준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몸의 어느 부위 또는 어느 장기의 기능이 부족하고 허약한지를 안 연후에 보약을 사용하여야 한다.

허약이의 각종중상

소화기가 허약한 경우의 증상

  • 식욕이 없고 잘 먹지 않으며 편식들 한다.
  • 소화가 잘안되는 경우가 많다.
  • 잘 체하고 구취가 심하다.
  • 메스꺼움, 구토나 구역질 등이 찾다.
  • 설사나 변비가 장고 교대로 계속되기도 한다.
  • 살이 잘 찌지 않고 몸이 수척하다.

호흡기가 허약한 경우의 증상

  • 감기가 자주 걸리고 감기에 걸리면 잘 안 낫는다.
  • 찬바람을 쐬거나 찬 음식만 먹어도 기침을 한다.
  • 편도선염이나 편도선이 부어있는 경우가 많다.
  • 아간이나 새벽에 기침을 자주 한다.
  • 재채기와 맑은 콧물을 자주 흘리고 코가 막힌다.
  • 모세 기관지염, 기관지염, 폐렴 등에 잘 걸린다.
  •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축농증에 잘 걸린다.
  • 기후의 변화에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정신신경개가 허약한 경우의 증상

  • 잘 놀라고 무서움을 잘 타며 불안해 한다.
  • 잠이 깊이 들지 않고 꿈이 많다.
  • 신경이 몹시 예민하여 매사에 신경질을 잘 낸다.
  • 경기(驚記)를 잘한다.
  • 꿈이 많고 밤중에 갑자기 깨어 운다.
  • 주위가 산만하고 친구관계가 원만치 못하다.

비뇨생식기가 허약한 경우의 증상

  • 소변이 잦으며 시원하질 못하다.
  • 밤에 오줌을 싸거나 낮에도 오줌을 지린다.
  • 전체적인 변량이 적다.
  • 소변색이 탁한 경우가 종종 있다.
  • 아침에 일어나면 눈덩이가 붓기도 한다.

운동신경개가 허약한 경우의 증상

  • 팔이나 다리가 양쪽 또는 한쪽만 힘이 없다.
  • 자주 넘어지며 팔다리를 자주 삔다.
  • 근육에 경련이나 쥐가 잘 내린다.
  • 달리기을 잘못한다.
  • 살이 무른편이다.

일반적으로 허약한 경우의 증상

  • 쉽게 피로나 어지러움증을 느낀다.
  • 기운이 없어 보이며 비활동적이다.
  • 차멀미를 자주한다.
  • 나이에 비해 성장발육이 늦은 편이다.
  • 수면중이나 활동시에 손발이 땀이 많다.
  • 봄을 탄다.
  • 병을 앓고 난 후

허약이의 건강관리

  • 적당한 양의 운동을 시킨다.
  • 목욕을 자주시켜 혈액순환을 돕는다.
  • 갑작스런 자극, 꼬등의 무서운 내용은 피한다.
  • 밥을 잘 먹지 않는 경우 그 요인들 제거한다.
  • 청량음료, 사탕, 과자등을 제한한다.
  • 밥은 일정시간에 적당량 따뜻이 먹인다.
  • 너무 덥거나 차게 키우지 않는다.
  • 평소에 마른수건 마찰 등으로 피부을 단련한다.
  • 소화가 잘되는 음식들 먹인다.
  • 갑작스런 온도의 변화에 주의한다.
  • 증상과 체질에 맞는 한약을 복용한다.

허약이에게 필요한 한약은 언제 복용하나?

허약이들은 봄, 가을철 환절기에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체내의 저항력을 증강시켜주는 한약을 복용하게 된다. 그러나 한약의 복용은 특정한 시기가 따로 있는것이 아니라, 우리 몸의 정기가 약해져서 정말로 보약을 필요로 할때가 가장 적당한 시기라 할수 있다.

Woosung Women's Hospital

우성여성병원은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온라인상담하기